혹시 방어기제 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방어기제란 자기 방어의 장치라고 생각하시면 된답니다.
대부분 본능적 욕구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고 싶을 때에 무의식 적으로 심리적인 자신을 방어하는 장치를 만들게 됩니다. 이를 방어기제라고 합니다.
방어 기제는 나의 무의식 속의 자아가 다치지 않게 방어해주는 역할이라고 보면 된다.
어떤 의미로는 현실을 부정하거나 왜곡시키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프로이드는 인간은 성적인 존재다라고 이야기하였다. 성적 욕망을 억압하려는 자아를 방어 기제로 설명하였다.
방어기제의 유형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과연 나는 어떤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을지 또는 우리 아이의 방어기제는 무엇일까요?
우리 아이는 무슨 방어기제를 가졌기에 이러한 행동을 보이는 것일까요?
여러 유형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부정은 자신이 기억하기 싫은 것들 또는 불쾌했던 기억들 나쁜 기억들을 잊으려고 하거나 무시하거나 억압하려는 방어 기제이다. 이와 같은 방어 기제가 심할 경우에는 기억 상실까지 이뤄진다고 합니다.
투사는 내가 싫어하는 나 자신에 대해 또는 자신의 특성에 대해 타인에게 전가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예를 들어 아기 같은 내가 "너 아기 같다 ~"라고 이야기하는 것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퇴행은 그 시기에 적절한 안정을 찾지 못하거나 불안을 너무 겪게 되면 이전의 발달 단계에서 보였던 행동들을 퇴행하여 다시 나타나는 모습을 보입니다. 기저귀를 뗀 영아가 다시 기저귀를 입는 다던지 쪽쪽이를 다시 물려고 한다던지의 예가 있겠습니다. 보통 동생이 생겼을 때에 첫째가 불안해하며 퇴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경우가 생긴답니다.
치환은 자신에게 무서운 대상 대신 자신에게 무섭지 않은 대상에게 대치하는 방어 기제입니다. 예를 들어서 엄마에게 자주 혼나는 아이의 경우 엄마에게는 무서우니 동생에게 화풀이 하는 것을 예를 들 수 있습니다. 또는 직장을 예로 들 경우, 회사 상사에게 혼난 뒤 신입에게 해코지를 하는 것도 이와 동일한 예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승화는 자신에게 좋지 않은 욕구에 대해 사회적으로 수용이 되는 방법으로 전환되는 방어기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성적인 욕구를 다른 사회적으로 수용이 되는 방법으로 전환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합리화는 몬가 용납되지 않는 행동에 대해 거짓으로 자신의 마음을 합리화 시키려는 것이 예가 된다. 거짓말을 치는 것이 자신을 합리화 하려는 예라고 들 수 있다. 정당해지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반동형성은 나도 모르게 나의 행동을 반대로 하는 방어 기제입니다. 예를 들어 결벽증 없는 사람이 결벽증인 척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사회생활 하는 거 못하는데 사회생활 잘하는 것도 예가 될 수 있겠습니다.
억압은 몬가 나쁜 행동 또는 나쁜 생각이나 죄의식이 드는 생각이나 감정이 있을 때에 나도 모르게 이를 억누르는 방어기제입니다. "나를 억압한다."하고 소설에서 많이 보이실 겁니다. 더러운 것을 싫어하는 사람이 자주 씻는 것을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육아 , 유치원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드 남근기 잠복기 성기기 (0) | 2021.04.07 |
---|---|
4개월 잠퇴행기 원더윅스 기간 증상 (0) | 2021.04.06 |
에릭슨의 발달단계 이론 신뢰감 대 불신감 (0) | 2021.04.05 |
결벽증 원인 테스트 치료방법 / 우리 아이는 결벽증일까 (0) | 2021.04.03 |
프로이드 발달단계 구강기 항문기 (0) | 2021.04.01 |
댓글